주식투자 필수지표: PSR, PER, PBR, EPS, ROE 완벽 정리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다양한 지표를 접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PSR, PER, PBR, EPS, ROE는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꼭 필요한 핵심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다섯 가지 지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각각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 실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해드립니다.PSR (주가매출비율, Price to Sales Ratio)PS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수치로, 이익이 나지 않는 기업의 가치 평가에 유용한 지표입니다.▶ 공식:PSR = 시가총액 ÷ 연간 매출액또는 PSR = 주가 ÷ 주당매출액 (SPS) ▶ 예시:한 기업의 시가총액이 5,000억 원이고, 연 매출이 1,000억 원이라면 PSR은 5입니다. 이는 투자자가 매출 1원당 5원을 지..
2025. 6. 25.
S&P500! 어떻게 투자하지?
미국 주식시장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미국 주가지수입니다. 우리나라에 코스피, 코스닥이 있듯이 미국에는 미국의 주가의 지표가 되는 주가지수가 있죠-대표적으로 S&P500, 다우존스, 나스닥, 러셀 2000 등이 있으며, 각각의 지수는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을 다양한 각도에서 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의 주요 주가지수를 비교하고, 어떤 지수가 어떤 투자 목적에 적합한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S&P500 지수S&P500 지수는 미국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기술, 금융,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고 있어 미국 경제 전체의 흐름을 잘 반영합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 글로벌 ..
2025. 6. 10.
ETF !! 아직 거래해보지 않았다면? ETF의 정의, 종류, 특징, 거래 방법, 펀드·주식과의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
ETF! 아직 거래해보지 않았다면요-오늘 글 참고해 주세요!요즘 흔하게 뉴스나 밖에서도 ‘ETF’라는 단어를 어렵지 않게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저 또한 처음엔 그런게 있나보다 흘려듣기만 했는데, 나쁘지 않다고 생각되는 투자 수단이라고 생각됩니다~그래서 오늘은 ETF에 대해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ETF의 정의, 종류, 특징은 물론, 펀드나 일반 주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실전 거래는 어떻게 하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쉽게 말하면 이런 겁니다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어렵게 들릴 수 있지만, 쉽게 말하자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기존의 펀드는 가입 후 일정 기간을 두고 운용..
2025. 6. 9.